광고
광고

‘오색영롱, 한국 고대 유리와 신라’ 특별전 열린다

국립경주박물관, 한국 고대 유리의 전반적 흐름 조명

김영호 기자 | 기사입력 2020/12/07 [10:14]

‘오색영롱, 한국 고대 유리와 신라’ 특별전 열린다

국립경주박물관, 한국 고대 유리의 전반적 흐름 조명

김영호 기자 | 입력 : 2020/12/07 [10:14]
▲     © 드림저널


[경주/드림저널] 국립경주박물관은 8일부터 내년 3월 1일까지 특별전시관에서 ‘오색영롱, 한국 고대 유리와 신라’ 특별전을 개최한다.

 

특별전은 신라 사람들이 특별히 아끼고 사랑한 유리를 중심으로 한국 고대 유리의 전반적 흐름을 조명하기 위해 기획됐다. 

 

한국 고대 유리를 주제로 한 최초의 대규모 전시로, 철기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유리 제품 18,000여 점을 선보인다. 전시품에는 경주 황남대총 남분 출토 봉황 모양 유리병(국보 제193호)을 비롯한국보 3건과 보물 8건이 포함되어 있다.

  

4,500년 전 지중해 지역에서 탄생한 유리는 기원전 1세기 대롱 불기라는 혁신적 기법이 개발되면서 로마 제국에서 널리 사용됐다. 고대 동아시아에서 유리는 서역에서 온 진귀한 보물로 여겨졌으며, 오색을 띠며 빛을 발하는 모습으로 묘사되곤 했다. 주로 장신구에 활용됐고 서방에 비해 그릇류는 보편화되지 않았다. 

 

▲     © 드림저널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신라 능묘에서 출토된 다수의 유리그릇은 매우 놀랍고도 이례적 사례이다. 이제까지 7개의 능묘에서 제대로 형태를 갖춘 유리그릇으로는 15점이 발견됐는데 황남대총의 경우 8점에 이른다. 이들은 세계 다른 지역의 유리기와 비교해보아도 보기 드물게 아름다우며 다채로운 색과 기형을 보여준다. 최근 조사에서는 생산지를 구체적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집트, 시리아-팔레스타인 지역, 코카서스 산맥 이남 지역, 중앙아시아 등 다양한 곳에서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유라시아를 가로지르는 육로와 해로를 통해 신라로 전해진 유리그릇은 신라인의 국제적 감각, 높은 심미안, 특별한 취향을 유감없이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고대 유리의 유형 중에서 주류를 이루는 구슬의 무궁무진한 변주를 선보인다. 각양각색의 단색 유리구슬 이외에 상감이나 금으로 장식해 한층 화려한 모습을 띠는 유리구슬을 제작방식과 함께 설명한다. 또 삼국시대 대표작을 중심으로 나라별 특색도 살펴본다. 예를 들어 백제의 다채로운 색, 가야의 수정과 유리의 조화, 신라의 청색 물결이라는 키워드로 각국의 사례를 비교해볼 수 있다. 

▲     © 드림저널


 

유리를 수입하는 데 그치지 않고 국내에서 유리를 직접 생산한 증거들도 소개한다. 부여 쌍북리와 익산 왕궁리 등에서 발견된 유리 도가니와 납유리 파편은 모래에 납을 섞어 유리를 만드는 기술이 늦어도 6세기 말에는 존재했음을 보여준다. 

 

불교 유입으로 인해 유리에 부여된 종교적 의미도 살펴본다. 황룡사 구층목탑, 구황동 삼층석탑 등에서 발견된 다량의 유리구슬은 유리가 부처에게 바치는 귀한 보석으로 여겨졌음을 보여준다. 우리나라 유리 사리기의 대표작인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병(국보 제123호)과 송림사 오층전탑 사리병(보물 제325호)에서는 다중 사리기의 가장 안쪽에서 사리를 직접 담는 용기로 사용된 유리 사리기의 특별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광고
광고
문화콘텐츠 많이 본 기사